번아웃 증후군의 의미와 증상? 정신적인 탈진

번아웃

상당히 무기력하고 정신적으로 너무 피로합니다.

뭐랄까 조금 뭔가를 하려고 하면 머리에 쥐가 난 것처럼 힘들어요.

신기함을 감지하는 능력이 줄어들고, 심신의 에너지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더 이상 창의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려고 노력할수도,

그런 아이디어를 내기도 쉽지 않습니다.

고등학교 친구에게 하소연하니까, 번아웃이 온 것 같다고 하네요.

오늘은 번아웃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번아웃

번아웃이란?

「번아웃 증후군」이라고 불리며,

어떤 일을 하는 도중 극심한 정신과 육체의 피로를 느끼고 열정과 동기부여를 잃어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심신의 에너지를 잃은 무기력한 상태입니다.

허버트 프로이덴버거가 제창

「번아웃 증후군」은 1970년대, 미국의 정신 심리학자인 허버트 프로이덴버거가 제창한 개념이라고 합니다.

허버트 프로이덴버거는 진료소에서 근무중, 많은 동료가 정신의 피로를 호소하며, 일에 의욕이나 열정을 잃어가는 모습을 목격했는데요.

그러한 동료들의 상태가 약물중독자가 빠지는 무감동과 무기력 상태를 닮았기 때문에, 그 속어인「번아웃 증후군」이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번아웃 증상

번아웃에는 MBI라고 불리는 척도가 있습니다.

MBI에 따르면, 다음의 세 가지를 번아웃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① 정서적 소모감

정서적인 탈진이라고 표현합니다.

상대의 기분을 지나치게 배려하는 바람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려고 노력한 결과, 정서적으로 탈진 상태에 빠지는 경향입니다.

② 탈인격화

상대에게 배려심있는 태도를 취할 수 없는 증상을 탈인격화라고 합니다.

사람은 정서적인 에너지가 없어지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탈인격화 행동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③ 성취감의 저하

정서적 탈진과 탈인격화가 드러나는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하, 아무래도 일의 능률이 떨어집니다.

개인적인 해결책 & 여담

지금까지 번아웃 증후군에 유사한 상황에서 가급적 휴식을 취하는 방법을 선택해 왔습니다.

어찌되었든 우선 휴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조금 회복이 되었을 때는 휴식 이상의 결과를 끌어내려고 노력함으로써, 그 방법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그 결과 번아웃에는 휴식이 가장 우선적이며 효과적인 접근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휴식을 할 수 없는 상황, 휴식을 하기 힘들거나 애매한 상황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저도 지금 그런 상황에 있어요.

다소 힘을 빼는 것 이외에 현실적으로 제대로 휴식을 취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럴 때는 저도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다만 정말 한계치에 다다르거나, 심신의 위기가 닥친다면 지체없이 쉬는 것이 좋습니다.

제 안에서는 번아웃이란 무언가를 최선을 다해온 사람, 열심히 해온 사람이 걸린다는 증상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내가 번아웃에 걸릴만한 사람일까라는 생각도 잠깐 들었는데, 그렇게 절대적인 관점에서 생각할만큼 만만한 것이 아닌 것 같아요.

https://yuruniame.blog/%e3%80%90-%ec%b5%9c%ec%95%a0%ec%9d%98-%ec%95%84%ec%9d%b4-6%ed%99%94-%e3%80%91%eb%a3%a8%ed%82%a4%ec%a6%98-%eb%a9%98%ec%bf%a0%ec%9d%b4%ef%bc%88%e9%9d%a2%e9%a3%9f%e3%81%84%ef%bc%89%ec%9d%98%eb%af%b8/
https://yuruniame.blog/%eb%b8%94%eb%9f%ac%ed%94%84bluff%eb%9e%80-%ec%9e%91%ed%92%88-%ec%86%8d%ec%97%90%ec%84%9c-%eb%82%98%ec%98%a4%eb%8a%94-%eb%b8%94%eb%9f%ac%ed%94%84%ec%9d%98-%eb%9c%bb%ea%b3%bc-%ec%9d%98%eb%af%b8/

Comments

コメントを残す

メールアドレスが公開されることはありません。 が付いている欄は必須項目です